목록msSQL (8)
게임하고 맛집가고 산타고 코딩하는 자
MSSQL 사용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자주사용하는 변수선언은 꼭 외워두도록 하자! 변수선언하면서 값 넣는 방법//변수선언 [데이터타입] = 값DECLARE @변수명 varchar(8) = '20240528' 변수선언 후 값 넣는 방법//변수선언 [데이터타입]DECLARE @변수명 varchar(8)SET @변수명 = '20240528'
특정 그룹으로 순번을 넣고 싶을때 사용하는 함수 입니다 SELECT Year,week,EventNM,EventFlag --순번을 지정해라(년도,주,이벤트구분 그룹의 이벤트구분 정렬 순번대로 순번지정) ,ROW_NUMBER() over(PARTITION BY Year,week,EventFlag ORDER BY EventFlag DESC) as EventNum INTO #EVTLIST FROM EVTLISTABLE ORDER BY week,EventFlag,EventNum [코드예제] SELECT Year,week,EventNM,EventFlag --순번을 지정해라(년도,주,이벤트구분 그룹의 이벤트구분 정렬 순번대로 순번지정) ,ROW_NUMBER() over(PARTITION BY Year,week,Eve..
Case문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:) CASE문 기본문법 CASE WHEN [조건문] THEN [조건문이 '참'이라면 들어가야하는 값] ELSE [조건문이 '거짓'이라면 들어가야하는 값] END CASE문 활용법1 SELECT EMPLOYEECODE,사원이름,근속년수 ,CASE WHEN 근속년수
서브쿼리에 사용하는 방법 SELECT * FROM TABLE1 WHERE EXISTS --서브쿼리에 해당사원이 존재한다면 출력해준다. (SELECT EMPLOYEECD FROM 사원테이블 WHERE 이름 = '철수') SELECT * FROM TABLE1 WHERE NO EXISTS --서브쿼리에 해당사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출력해준다. (SELECT EMPLOYEECD FROM 사원테이블 WHERE 이름 = '철수') CASE문에 사용하는 방법 SELECT --사원테이블 조회시 해당사원의 급여가 200-300사이면 A / 아니면 B CASE WHEN EXISTS(SELECT * FROM 월급테이블 WHERE EmployeeCD = a.사원코드 and 월급 BETWEEN 200 AND 300) THEN ..
여러 테이블을 한번에 조회하고 싶을 때 JOIN문을 많이 쓰게 됩니다. 오늘은 INNER JOIN문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! INNER JOIN이란? 기준이 되는 테이블과 조인할려는 테이블에 공통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입니다! INNER JOIN 사용법 select a.사원코드 ,a.이름 ,b.* from 사원기본정보 as a inner join 사원의 연차정보 as b on (두개 테이블의 공통된 부분/ 이부분이 있어야 join 가능) a.사원코드 = b.EMPLOYEECODE WHERE (조건문 / 조건이 있다면 넣고 없으면 전체조회) a.사원코드 = '조회하려는코드' 만약 B테이블에 사원A가 있지만 A테이블에는 사원A가 없다면 결과 값으로는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. 여기서 알려주고 싶은 꿀팁은..

MSSQL을 사용하다보면 쿼리를 조회하는 일이 많습니다. 그때 필요한 단축키를 설정 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. 위치 : [도구]-[옵션]-[환경]-[키보드] 해당 테이블 드래그 후 단축키를 누르면 select*from이 없어도 실행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! 보통 select * from / select top 100 * from / select *(count) from 을 단축키 설정으로 많이 해둡니다!
MSSQL에서 임시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해보겠습니다. 임시테이블 생성하여 데이터 넣기 --임시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#TMP( Name VARCHAR(30) ); INSERT INTO #TMP SELECT * FROM 테이블 --[임시테이블에 조회해서 넣을 테이블] WHERE Name = '김%' SELECT 하면서 임시테이블 넣기 SELECT Name INTO #TMP FROM NameTbl(임시테이블에 넣고 싶은 테이블) WHERE Name = '김%' 임시테이블 값이 있다면 초기화 시키는 부분 IF OBJECT_ID('tempdb.dbo.#임시테이블명') IS NOT NULL BEGIN DROP TABLE #임시테이블명 END 간단한 쿼리에는 임시테이블을 사용 할 일이 없지만, 복잡한 쿼..
제일 많이 쓰는 SELECT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! SELECT문은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때 사용합니다. --모든 컬럼을 조회시 SELECT * FROM 테이블명 --특정한 컬럼 조회시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SELECT TOP N(상위 N개) 적은 데이터를 조회시에는 필요가 없지만, 큰 데이터를 조회시에 서버에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. 이때 사용하는 TOP N은 상위 특정 갯수만큼의 데이터만 조회해서 확인하는 SELECT문입니다. //상위 N개의 데이터 조회 SELECT TOP N(상위 N개) * FROM 테이블명 //상위 100개 데이터 조회 SELECT TOP 100 * FROM 테이블명 WHERE은 조건이 있다면 사용합니다. --이름이 티스토리인 데이터 검색 SELECT *..